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4·15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을 이끈다. 통합당 박형준·신세돈 공동선대위원장은 26일 국회 브리핑에서 “김 전 대표가 통합당 선대위에 합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10시 30분 황교안 통합당 대표가 직접 김 전 대표의 구기동 자택을 찾아 총괄선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요청했고, 김 전 대표가 이를 수락했다고 한다. 김 전 대표는 29일부터 공식 활동하는데, 선대위는 사실상 ‘김종인 원톱’ 체제로 꾸려진다.
김 전 대표는 2012년 19대 총선 때는 새누리당(통합당 전신) 비상대책위원, 그해 대선에선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 겸 경제민주화추진단장을 맡았다. 4년뒤 2016년 20대 총선 때는 민주당 비대위 대표를 맡았다. 또 4년이 지나 선거를 20일 앞두고 다시 보수당 선거 총 사령탑이 된 거다.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가 26일 오전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자택을 찾아 김종인 전 대표와 악수를 하고 있다. [미래통합당 제공]](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3/26/4a65fee1-f915-4b73-a9a4-0490bb5e8171.jpg)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가 26일 오전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자택을 찾아 김종인 전 대표와 악수를 하고 있다. [미래통합당 제공]
- 통합당 선거를 총괄하게 됐는데.
- “(웃으며) 곤욕을 치르게 생겼다.”
- 2012년에 이어 8년 만인데.
- “여당(2012년 새누리당 시절)에서 선거하는 것과 야당에서 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 당에 경제위기 대책 기구 같은 걸 만드나.
- “야당은 그런 기구를 만들 필요는 없다. 야당은 선거를 치를 때 집권 여당에 대해 비판을 하는 게 당연하다.”
- 여론 추이가 어떤가.
- “부동층이 40%다. 역대 선거에서 선거를 불과 20일 남기고 이렇게 부동층이 많은 적은 없었다. 그만큼 정치를 불신하고 있다는 거다.”
- 유승민, 안철수 전 대표 등에도 연락을 할 건가.
- “선거가 임박했다. 지금 그런 걸 시도한다고 새롭게 될 게 없을 것 같다.”
박형준 공동선대위원장은 김 전 대표가 총괄선대위원장으로 합류하는 것에 대해 "아무런 조건이 없었다"고 했지만, 김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게 되면서 선대위의 인적 구성에 일부 변화가 있을 예정이다. 다만, 김 전 대표 영입이 공천에 영향을 끼치는 게 아니냐는 질문에 박 위원장은 “공천은 끝난 것”이라고 일축했다. 선거 후 김 전 대표의 당내 역할론에 대해서도 “그런 논의는 없었다”고 했다.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 [중앙포토]](https://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003/26/a00e3803-f21a-4bf0-9bcb-113fbb9ed89a.jpg)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 [중앙포토]
통합당 관계자는 “김 전 대표는 경제민주화를 주도한 상징적 인물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중도·개혁 유권자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황 대표는 선거 총괄 지휘를 사실상 김 전 대표에게 일임한 뒤, 서울 종로 선거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후보 등록을 마친 황 대표는 선거 운동 중에 기자들과 만나 "김 전 대표도 이 나라의 위기 상황에 공감하고 힘을 보태겠다고 하셨다. 자유대한민국을 살리기 위한 대장정에 함께 가겠다"고 말했다.
통합당은 김 전 대표 영입으로 ‘반문(반문재인) 프레임’이 강화될 것이라 기대한다. 통합당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 출범 주역인 김 전 대표가 문 대통령에게 날을 세우면 여권에서도 아픔이 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지난 20일 발간한 회고록 『영원한 권력은 없다』에 “나는 국민 앞에 두 번 사과해야 한다. 하나는 박근혜 정부가 태어날 수 있도록 했던 일이고 다른 하나는 문재인 정부가 태어날 수 있도록 했던 일”이라고 썼다.
◇통합당, 8명 추가 파견= 통합당은 26일 오후 9시 의원총회를 열어 미래한국당으로 이적할 현역 의원을 대거 제명한다. 정당투표 용지에서 두 번째 자리를 차지하게끔 ‘의원 꿔주기’를 하는 것이다. 현재 미래한국당행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진 통합당 의원은 김규환ㆍ김성태ㆍ김순례ㆍ김승희ㆍ김종석ㆍ문진국ㆍ송희경ㆍ윤종필 등 8명이다. 이들이 이동할 경우 미래한국당 의석은 10석에서 18석으로 늘어난다.
현일훈ㆍ박현주 기자 hyun.ilhoon@joongang.co.kr
2020-03-26 08:58:58Z
https://news.google.com/__i/rss/rd/articles/CBMiJ2h0dHBzOi8vbmV3cy5qb2lucy5jb20vYXJ0aWNsZS8yMzc0MDIyNNIBK2h0dHBzOi8vbW5ld3Muam9pbnMuY29tL2FtcGFydGljbGUvMjM3NDAyMjQ?oc=5
52782256209726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통합당 원톱된 김종인 “文 실정에 남은 2년 걱정돼 결심” - 중앙일보 - 중앙일보"
Post a Comment